반응형
1. 의미
- 그 자리에 가만히 있는다 –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않음
- 아무 행동도 하지 않고 기다린다 – 상황 변화나 지시를 기다리는 태도
2. 어원
- sit: ‘앉다’라는 기본 동사
- tight: ‘단단하게, 꽉’이라는 의미
- 합쳐서 **“자리를 단단히 지키다” → “움직이지 않고 기다리다”**라는 뉘앙스로 발전
- 군사·항해·스포츠에서 기원해,
“자리를 지켜라, 움직이지 마”라는 의미로 사용되다가
일상 회화와 비즈니스 상황까지 확장됨
3. 자주 쓰는 상황
- 누군가에게 “가만히 있어라”, “서두르지 마라”라고 할 때
- 지시·결과·상황 변화를 기다려야 할 때
- 경찰, 구조요원, 보스, 정치인 등 권위 있는 인물의 명령문으로 자주 등장
- 비즈니스에서는 “추가 연락이 있을 때까지 기다려 달라”는 의미로도 사용
4. 예문
(1) 물리적으로 움직이지 말라는 뜻
- Sit tight until the ambulance arrives.
(구급차가 올 때까지 가만히 계세요.) - Sit tight until the rescue team gets here.
(구조대가 올 때까지 가만히 계세요.)
(2)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기다리라는 뜻
- Sit tight until things blow over.
(상황이 가라앉을 때까지 기다려.) - Sit tight until the storm passes.
(폭풍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려.)
(3) 명령·지시 대기
- Sit tight until you get further instructions.
(추가 지시가 있을 때까지 기다려.) - Sit tight until the boss says it’s okay.
(보스가 괜찮다고 할 때까지 기다려.)
(4) 비즈니스·일상 대화
- Sit tight — I’ll call you when I get more info.
(가만히 계세요, 정보가 더 생기면 연락드릴게요.) - Sit tight and enjoy the show.
(그냥 가만히 앉아서 쇼를 즐기세요.)
💡 비슷한 표현
- hold still: (신체적으로) 움직이지 않다
- stay put: 제자리에 있다
- wait patiently: 참을성 있게 기다리다
- lay low: (몸을 낮추고) 눈에 띄지 않게 지내다 → 위기 상황 회피 시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