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📌 영어 표현: make ends meet

by 뉴욕톡쌤 2025. 9. 25.
반응형

make ends meet

1. 의미

make ends meet
👉 “근근이 살다, 수입과 지출을 맞추다”
즉,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을 겨우 맞춰서 생활한다는 뜻이에요.
경제적으로 빠듯한 상황을 표현할 때 자주 쓰입니다.


2. 어원

  • ends = 수입과 지출의 “양 끝”을 비유적으로 말함.
  • meet = 서로 맞닿다, 맞추다.
  • 그래서 “양 끝을 맞추다 → 수입과 지출을 겨우 맞춘다” 라는 의미가 된 것.
  • 17세기 영국 문헌에서 make both ends meet 형태로 처음 쓰였고, 지금은 관용 표현으로 굳어졌습니다.

3. 예문

  1. 그는 아르바이트 두 개를 해서 겨우 생계를 유지했어.
    He worked two part-time jobs to make ends meet.
  2. 그녀는 월세와 빚 때문에 생활비 맞추기가 힘들어.
    She struggles to make ends meet with rent and debts.
  3. 불황 때 많은 가정들이 근근이 살았어.
    Many families had to make ends meet during the recession.
  4. 월급이 적어서 간신히 생활비를 맞추고 있어.
    My salary is so low that I can barely make ends meet.
  5. 그는 부업을 시작해서 생활을 겨우 이어가고 있어.
    He started a side hustle to make ends meet.

4. 비슷한 표현

  • live from hand to mouth → “그날 번 돈으로 그날 먹고살다”
  • tighten one’s belt → “허리띠를 졸라매다, 절약하다”

👉 정리하면, make ends meet 는 “빠듯하지만 겨우 수입과 지출을 맞춰서 살아간다”라는 실감 나는 생활 영어 표현이에요.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