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throw up은 기본적으로 *“위로 던져 올리다”*라는 그림에서 출발해 여러 의미로 확장된 구동사입니다.
자주 쓰이는 뜻부터 드문 뜻까지, 상황별로 알아보겠습니다.
1. 토하다, 게우다 (가장 흔한 의미)
몸속에 있던 것을 위로 던져 올린다는 그림에서 나온 표현.
- He drank too much and threw up.
그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시고 토했다. - The child threw up because of car sickness.
아이가 차멀미 때문에 토했다.
2. (문제·결과 등을) 불쑥 발생시키다, 낳다
계획이나 정책이 숨겨진 문제나 예기치 못한 결과를 “위로 던져 드러낸다”는 그림.
- The policy threw up several legal issues.
그 정책은 여러 법적 문제를 발생시켰다. - His research threw up surprising results.
그의 연구는 놀라운 결과를 낳았다.
3. (연기·먼지 등을) 내뿜다
불·화산·차량 등이 위로 무언가를 분출하는 그림.
- The volcano threw up a cloud of ash.
화산이 재 구름을 내뿜었다. - The car stopped suddenly and threw up a cloud of dust.
차가 갑자기 멈추면서 먼지를 내뿜었다.
4. (임시로) 급히 세우다, 짓다
재료를 위로 던져 급히 쌓아 올린다는 그림에서 확장.
- They threw up temporary shelters for the refugees.
그들은 난민들을 위해 임시 거처를 급히 세웠다.
5. (손을) 번쩍 들다 → 항복·절망의 표현
무기를 내려놓고 손을 위로 던져 올린 제스처에서 유래. 항복, 포기, 절망의 의미.
- He threw up his hands in surrender.
그는 항복의 의미로 두 손을 번쩍 들었다. - She threw up her hands in despair.
그녀는 절망하며 두 손을 번쩍 들었다.
✅ 정리
- 가장 흔함 → ① 토하다, ② 문제·결과를 낳다
- 가끔 → ③ 내뿜다
- 드물게 → ④ 급히 세우다, ⑤ 손을 번쩍 들다
👉 기본 그림은 단순히 “위로 던져 올리다”지만,
맥락에 따라 토하다 / 문제를 발생시키다 / 내뿜다 / 세우다 / 항복하다 등 다양하게 확장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