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🔹 어원 이미지로 이해하기
leave (두다, 남기다) + out (밖으로)
👉 “안에 있어야 할 것을 밖(out) 에 두는 그림”에서 출발해요.
즉, 무언가를 포함하지 않고 바깥에 남겨두는 장면이 핵심이에요.
이 한 가지 그림이 문맥에 따라 세 가지 뜻으로 확장됩니다 👇
💡 1️⃣ 생략하다 / 언급하지 않다
말하거나 글을 쓸 때 일부 내용을 빼거나 언급하지 않을 때
📘 예문
- Don’t leave out any important details.
→ 중요한 세부사항을 빠뜨리지 마. - You can leave out this sentence.
→ 이 문장은 생략해도 돼.
🪄 핵심 이미지:
내용 중 일부를 “밖으로 빼내는” 장면.
💡 2️⃣ 제외하다 / 빠뜨리다
사람이나 대상을 명단, 계획, 활동 등에서 빼놓을 때
📘 예문
- They left me out of the meeting.
→ 그들은 나를 회의에서 제외했어. - My name was left out of the list.
→ 내 이름이 명단에서 빠졌어. - Let’s not leave out that topic when we discuss.
→ 우리가 이야기할 때 그 주제는 빼지 말자.
🪄 핵심 이미지:
함께 있어야 할 사람을 무리 밖(out) 으로 밀어내는 그림.
💡 3️⃣ 소외되다 / 배제되다 (be left out)
무리에서 혼자 빠져 외톨이가 된 상태를 표현할 때
📘 예문
- She felt left out because nobody talked to her.
→ 아무도 그녀에게 말을 걸지 않아서 소외감을 느꼈어. - Everyone was invited, but I was left out.
→ 모두가 초대됐는데 나만 빠졌어. - He felt left out when his friends went out without him.
→ 친구들이 자기 없이 놀러 나가서 그는 소외감을 느꼈어.
🪄 핵심 이미지:
무리 안에 들어가지 못하고 바깥(out) 에 남겨진 사람의 모습.
✅ 정리 요약
구분뜻사용 빈도핵심 이미지
| ① | 생략하다 / 언급하지 않다 | ★★★★★ | 내용 일부를 빼다 |
| ② | 제외하다 / 빠뜨리다 | ★★★★☆ | 사람·대상을 무리 밖으로 두다 |
| ③ | 소외되다 / 배제되다 | ★★★☆☆ | 감정적으로 밖에 남겨진 상태 |
✏️ 마무리 정리 문장
leave out = “안에 있어야 할 것을 밖(out)에 두다”
→ 그래서 문맥에 따라
① 생략하다, ② 제외하다, ③ 소외되다
로 다양하게 쓰이는 표현이에요.
반응형